https://www.acmicpc.net/problem/9205

 

9205번: 맥주 마시면서 걸어가기

송도에 사는 상근이와 친구들은 송도에서 열리는 펜타포트 락 페스티벌에 가려고 한다. 올해는 맥주를 마시면서 걸어가기로 했다. 출발은 상근이네 집에서 하고, 맥주 한 박스를 들고 출발한다.

www.acmicpc.net

문제

송도에 사는 상근이와 친구들은 송도에서 열리는 펜타포트 락 페스티벌에 가려고 한다. 올해는 맥주를 마시면서 걸어가기로 했다. 출발은 상근이네 집에서 하고, 맥주 한 박스를 들고 출발한다. 맥주 한 박스에는 맥주가 20개 들어있다. 목이 마르면 안되기 때문에 50미터에 한 병씩 마시려고 한다. 즉, 50미터를 가려면 그 직전에 맥주 한 병을 마셔야 한다.

상근이의 집에서 페스티벌이 열리는 곳은 매우 먼 거리이다. 따라서, 맥주를 더 구매해야 할 수도 있다. 미리 인터넷으로 조사를 해보니 다행히도 맥주를 파는 편의점이 있다. 편의점에 들렸을 때, 빈 병은 버리고 새 맥주 병을 살 수 있다. 하지만, 박스에 들어있는 맥주는 20병을 넘을 수 없다. 편의점을 나선 직후에도 50미터를 가기 전에 맥주 한 병을 마셔야 한다.

편의점, 상근이네 집, 펜타포트 락 페스티벌의 좌표가 주어진다. 상근이와 친구들이 행복하게 페스티벌에 도착할 수 있는지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.

입력

첫째 줄에 테스트 케이스의 개수 t가 주어진다. (t ≤ 50)

각 테스트 케이스의 첫째 줄에는 맥주를 파는 편의점의 개수 n이 주어진다. (0 ≤ n ≤ 100).

다음 n+2개 줄에는 상근이네 집, 편의점, 펜타포트 락 페스티벌 좌표가 주어진다. 각 좌표는 두 정수 x와 y로 이루어져 있다. (두 값 모두 미터, -32768 ≤ x, y ≤ 32767)

송도는 직사각형 모양으로 생긴 도시이다. 두 좌표 사이의 거리는 x 좌표의 차이 + y 좌표의 차이 이다. (맨해튼 거리)

출력

각 테스트 케이스에 대해서 상근이와 친구들이 행복하게 페스티벌에 갈 수 있으면 "happy", 중간에 맥주가 바닥나서 더 이동할 수 없으면 "sad"를 출력한다. 

예제 입력 1 복사

2
2
0 0
1000 0
1000 1000
2000 1000
2
0 0
1000 0
2000 1000
2000 2000

예제 출력 1 복사

happy
sad

 


풀이

  • 50m당 1병 마실 수 있으며 박스에 20개씩 들어있다. -> 최대 50 * 20 = 1000m까지 해피하게 맥주를 마시면서 락 페스티벌에 걸어갈 수 있다.
  • 처음에는 입력값이 왜 저렇게 들어가는지 이해가 안 됐었는데 문제를 꼼꼼하게 읽어보니 집, 편의점 n개, 펜타포트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.
  • 벡터에 모든 곳의 좌표를 저장하였고, 인접리스트에 두 점의 거리가 1000 이상일 경우만 서로 간선으로 이어주었다.
  • 방문 배열의 가장 마지막이 페타포트이기 때문에 이곳의 방문 여부에 따라 출력값을 다르게 하면 된다.

 

전체 코드

#include <iostream>
#include <algorithm>
#include <cstring>
#include <vector>

using namespace std;

#define MAX 102

vector<int> graph[MAX];
bool visited[MAX];

// 초기화 함수
void Init()
{
	memset(visited, false, sizeof(visited));
	for (int i = 0; i < MAX; i++)
	{
		graph[i].clear();
	}
}

// 위치간 거리 반환하는 함수
int GetDistance(pair<int, int> p1, pair<int, int> p2)
{
	return abs(p1.first - p2.first) + abs(p1.second - p2.second);
}

void Dfs(int v)
{
	visited[v] = true;
	for (int i = 0; i < graph[v].size(); i++)
	{
		int next = graph[v][i];
		if (!visited[next])
			Dfs(next);
	}
}

int main()
{
	ios::sync_with_stdio(false);
	cin.tie(0); cout.tie(0);

	int T;
	cin >> T;

	while(T--)
	{
		Init();

		int n;
		vector<pair<int, int>> vec;
		cin >> n;

		for (int i = 0; i < n+2; i++)
		{
			int x, y;
			cin >> x >> y;
			vec.push_back({ x, y });
		}

		// 거리가 1000 이하일 경우 위치 연결
		for (int i = 0; i < n+2; i++)
		{
			for (int j = i+1; j < n+2; j++)
			{
				int dis = GetDistance(vec[i], vec[j]);
				if (dis <= 50 * 20)
				{
					graph[i].push_back(j);
					graph[j].push_back(i);
				}
			}
		}

		Dfs(0);	// 집부터 탐색하기

		// 도착했으면 happy, 아니면 sad
		if (visited[n+1])
			cout << "happy\n";
		else
			cout << "sad\n";

	}

	return 0;
}

'C++ > BFS, DF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[C++] 백준 2573 - 빙산  (0) 2023.01.19
[C++] 백준 2638 - 치즈  (0) 2023.01.13
[C++] 백준 2636 - 치즈  (0) 2023.01.13
[C++] 백준 2589 - 보물섬  (0) 2022.12.28
[C++] 백준 1697 - 숨바꼭질  (0) 2022.12.27

+ Recent posts